ssongk
ssongk
ssongk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
공지사항

  • resources
  • 분류 전체보기 (627)
    • CTF (24)
    • background (79)
      • fuzzing (5)
      • linux (29)
      • linux kernel (15)
      • windows (2)
      • web assembly (1)
      • embedded (0)
      • web (13)
      • crypto (9)
      • mobile (1)
      • AI (1)
      • etc.. (3)
    • write-up(pwn) (171)
      • dreamhack (102)
      • pwn.college (4)
      • pwnable.xyz (51)
      • pwnable.tw (3)
      • pwnable.kr (5)
      • G04T (6)
    • write-up(rev) (32)
      • dreamhack (24)
      • reversing.kr (8)
    • write-up(web) (195)
      • dreamhack (63)
      • LOS (40)
      • webhacking.kr (69)
      • websec.fr (3)
      • wargame.kr (6)
      • webgoat (1)
      • G04T (7)
      • suninatas (6)
    • write-up(crypto) (19)
      • dreamhack (16)
      • G04T (1)
      • suninatas (2)
    • write-up(forensic) (53)
      • dreamhack (5)
      • ctf-d (47)
      • suninatas (1)
    • write-up(misc) (14)
      • dreamhack (13)
      • suninatas (1)
    • development (31)
      • Linux (14)
      • Java (13)
      • Python (1)
      • C (2)
      • TroubleShooting (1)
    • 자격증 (8)
    • 이산수학 (1)
    • 정보보안 (0)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ssongk

ssongk

development/Linux

[우분투 리눅스] NFS와 삼바

2022. 8. 30. 18:49

NFS

NFS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리눅스 시스템의 디스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(NFS 패키지: nfs-common nfs-kernel-server rpcbind)

NFS 서버 설정 

  - NFS 설정 파일: /etc/exports 익스포팅할디렉터리 클라이언트주소 (NFS 옵션)

  - NFS 서버가 공유한 내용 확인: exportfs

  - NFS 서비스 시작: systemctl start nfs-kernel-server restart, systemctl start rpcbind

NFS 클라이언트: NFS 서버가 공유한 디렉터리를 마운트한다.

  - mount -t nfs 서버주소:공유디렉터리명 마운트포인트

/etc/fstab 파일 설정: 부팅할 때 NFS 서버의 디렉터리를 마운트하려면 /etc/fstab 파일에 설정한다.

  - NFS서버주소:익스포팅한디렉터리 클라이언트마운트포인트 NFS옵션

NFS 서버의 공유 내용 확인: showmount -e 서버주소

삼바

삼바를 사용하여 리눅스와 리눅스, 리눅스와 윈도의 폴더 및 디렉터리를 공유할 수 있다.

리눅스 -> 윈도

  - 윈도 설정

        공유 폴더를 생성하고 이 폴더를 사용할 사용자(에: Everyone)를 지정한다.

        리눅스에서 공유 폴더에 접근할 때 사용할 사용자(root)를 생성하고 암호를 설정한다.

  - 리눅스 설정

        삼바 클라이언트 설치 확인: samba-client, samba-common 패키지

        윈도의 자원 확인: smbclient -L 윈도IP주소

        윈도 폴더 마운트: mount -t -o vers=1.0 cifs //윈도IP주소/공유폴더명 마운트포인트

윈도 -> 리눅스

  - 리눅스 설정

        삼바 서버 설치: samba 패키지 설치

        삼바 설정 파일 수정: /etc/samba/smb.conf 파일에서 workgroup, 로그인 디렉터리 지정

        삼바 데몬 이름: smbd, nmbd

        삼바 접속을 허용할 사용자 계정의 암호 지정: smbpasswd -a 계정

  - 윈도 설정

        탐색기의 네트워크 항목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

        '\\리눅스서버IP주소\사용자계정'을 입력하고 접속

  - 리눅스 클라이언트로 삼바 접속

        smbclient //서버주소/사용자명(디렉터리명) -U 사용자계정

'developmen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우분투 리눅스] 리눅스 보안의 기초  (0) 2022.08.30
[우분투 리눅스] DB 서버와 웹 서버  (0) 2022.08.29
[우분투 리눅스] 원격 접속과 FTP  (0) 2022.08.20
[우분투 리눅스] 네트워크 설정  (0) 2022.08.16
[우분투 리눅스] 사용자 계정 관리  (0) 2022.08.16
    'development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리눅스 보안의 기초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DB 서버와 웹 서버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원격 접속과 FTP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네트워크 설정
    ssongk
    ssongk
    벌레 사냥꾼이 되고 싶어요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