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songk
ssongk
ssongk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
공지사항

  • resources
  • 분류 전체보기 (626)
    • CTF (24)
    • background (79)
      • fuzzing (5)
      • linux (29)
      • linux kernel (15)
      • windows (2)
      • web assembly (1)
      • embedded (0)
      • web (13)
      • crypto (9)
      • mobile (1)
      • AI (1)
      • etc.. (3)
    • write-up(pwn) (171)
      • dreamhack (102)
      • pwn.college (4)
      • pwnable.xyz (51)
      • pwnable.tw (3)
      • pwnable.kr (5)
      • G04T (6)
    • write-up(rev) (32)
      • dreamhack (24)
      • reversing.kr (8)
    • write-up(web) (195)
      • dreamhack (63)
      • LOS (40)
      • webhacking.kr (69)
      • websec.fr (3)
      • wargame.kr (6)
      • webgoat (1)
      • G04T (7)
      • suninatas (6)
    • write-up(crypto) (19)
      • dreamhack (16)
      • G04T (1)
      • suninatas (2)
    • write-up(forensic) (53)
      • dreamhack (5)
      • ctf-d (47)
      • suninatas (1)
    • write-up(misc) (13)
      • dreamhack (12)
      • suninatas (1)
    • development (31)
      • Linux (14)
      • Java (13)
      • Python (1)
      • C (2)
      • TroubleShooting (1)
    • 자격증 (8)
    • 이산수학 (1)
    • 정보보안 (0)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ssongk

ssongk

development/Linux

[우분투 리눅스] 원격 접속과 FTP

2022. 8. 20. 23:16

텔넷

텔넷은 원격에서 리눅스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텔넷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

우분투에서 텔넷은 슈퍼데몬인 xinetd에 의해 동작한다.

텔넷 클라이언트 : 리눅스 그놈 터미널, 윈도 텔넷, HPuTTY

텔넷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주고받는 패킷이 암호화되어 있지 않다.

 

SSH

SSH는 텔넷처럼 원격에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지만 모든 통신을 암호화하여 주고 받는다.

우분투에서는 SSH 서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.

 

VNC

VNC는 원격에서 그래픽 환경으로 리눅스에 접속할 수 있다.

sudo apt install vnc4server (오류 발생 시 -> https://oneonlee.tistory.com/26)

 

VNC 서버 설정

  1. VNC 서버 동작(vncserver 명령) -> 암호설정

  2. ~/.vnc.xstartup 파일 수정

  3. VNC 서버 재시작

VNC 클라이언트 : 리눅스용(vinagre), 윈도용

FTP

sudo apt install vsftpd

vsFTPD는 독자적으로 동작한다.

설정 파일 : /etc/vsftpd.conf

FTP 클라이언트 명령 : cd, pwd, get, mget, put, mput, hash, prompt, bye 등

 

메일 송수신

메일 저장소 : /var/mail/사용자계정파일

메일 송신 : mailx [-s 제목] 사용자계정

메일 읽기 : mailx

 

'developmen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우분투 리눅스] NFS와 삼바  (0) 2022.08.30
[우분투 리눅스] DB 서버와 웹 서버  (0) 2022.08.29
[우분투 리눅스] 네트워크 설정  (0) 2022.08.16
[우분투 리눅스] 사용자 계정 관리  (0) 2022.08.16
[우분투 리눅스] 소프트웨어 관리  (0) 2022.08.06
    'development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NFS와 삼바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DB 서버와 웹 서버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네트워크 설정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사용자 계정 관리
    ssongk
    ssongk
    벌레 사냥꾼이 되고 싶어요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