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songk
ssongk
ssongk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
공지사항

  • resources
  • 분류 전체보기 (626)
    • CTF (24)
    • background (79)
      • fuzzing (5)
      • linux (29)
      • linux kernel (15)
      • windows (2)
      • web assembly (1)
      • embedded (0)
      • web (13)
      • crypto (9)
      • mobile (1)
      • AI (1)
      • etc.. (3)
    • write-up(pwn) (171)
      • dreamhack (102)
      • pwn.college (4)
      • pwnable.xyz (51)
      • pwnable.tw (3)
      • pwnable.kr (5)
      • G04T (6)
    • write-up(rev) (32)
      • dreamhack (24)
      • reversing.kr (8)
    • write-up(web) (195)
      • dreamhack (63)
      • LOS (40)
      • webhacking.kr (69)
      • websec.fr (3)
      • wargame.kr (6)
      • webgoat (1)
      • G04T (7)
      • suninatas (6)
    • write-up(crypto) (19)
      • dreamhack (16)
      • G04T (1)
      • suninatas (2)
    • write-up(forensic) (53)
      • dreamhack (5)
      • ctf-d (47)
      • suninatas (1)
    • write-up(misc) (13)
      • dreamhack (12)
      • suninatas (1)
    • development (31)
      • Linux (14)
      • Java (13)
      • Python (1)
      • C (2)
      • TroubleShooting (1)
    • 자격증 (8)
    • 이산수학 (1)
    • 정보보안 (0)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ssongk

ssongk

development/Linux

[우분투 리눅스] DB 서버와 웹 서버

2022. 8. 29. 23:31

데이터베이스

데이터베이스(DB)는 서로 관련성을 가진 데이터들을 데이터 간의 중복성을 최소화해서 체계적으로 모아놓은 것이다.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DB) : 데이터를 테이블 구조로 구성한 것

RDB 관련 용어

  - 테이블 : 데이터를 체계화하여 행과 열의 형태로 구성한 것

  - 필드 : 테이블의 열(컬럼)

  - 레코드 : 테이블의 행(튜플)

  - 키 : 레코드를 구성하는 필드에서 각 레코드를 구분할 수 있는 필드 값

 

SQL의 기초

구분 SQL문
데이터베이스 목록 확인 : show databases;
생성 :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;
삭제 : drop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;
사용 : use 데이터베이스명;
테이블 목록 확인 : show tables;
생성 : create table 테이블명(필드명1 필드자료형1, 필드명2 필드자료형2, ...);
구조 확인 : explain 테이블명;
수정 : alter table 테이블명 수정명령;
삭제 : drop table 테이블명;
레코드 삽입 :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(값1, 값2, ...);
수정 : 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명1=값1, 필드명2=값2, ... where 조건;
삭제 :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;
검색 : select 필드명1, 필드명2, ...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;
접근 권한 권한 부여 :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.* to 사용자계정@localhost identified by '패스워드';

 

MariaDB 설치와 사용

MariaDB :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

MariaDB 설치 : sudo apt install mariadb-server

MariaDB 관리 : mysqladmin status | version

 

아파치 웹 서버 설치와 사용

웹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웹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리눅스에서는 아파치 웹 서버를 제공한다.

아파치 설치 : sudo apt install apache2

아파치 활성화 : sudo systemctl start apache2

웹 페이지의 기본 디렉터리 : /var/www/html

기본 웹 사이트 파일 : index.html

일반 사용자 계정을 위한 웹 설정

  - /etc/apache2/mods-available/userdir.conf 파일을 수정하여 mods-enabled 디렉터리에 심벌릭 링크를 한다.

  - 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public_html 디렉터리를 생성한다.

  - 웹 브라우저에서 'http://IP주소/~계정명'으로 접속한다.

    (권한이 없어 오류가 나오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의 권한을 최소 711로 설정하고 다시 시도해보자)

 

APM과 게시판 설치

아파치, PHP, MariaDB를 묶어서 APM이라고 부른다.

PHP 설치 : sudo apt install php php-gd php-mysql

게시판 : 그누보드 설치(sir.kr)

'developmen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우분투 리눅스] 리눅스 보안의 기초  (0) 2022.08.30
[우분투 리눅스] NFS와 삼바  (0) 2022.08.30
[우분투 리눅스] 원격 접속과 FTP  (0) 2022.08.20
[우분투 리눅스] 네트워크 설정  (0) 2022.08.16
[우분투 리눅스] 사용자 계정 관리  (0) 2022.08.16
    'development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리눅스 보안의 기초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NFS와 삼바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원격 접속과 FTP
    • [우분투 리눅스] 네트워크 설정
    ssongk
    ssongk
    벌레 사냥꾼이 되고 싶어요

    티스토리툴바